교통사고 진단 기간과 합의금 - 당신의 소중한 시간을 아껴드립니다.
교통사고 합의금 총정리 / / 2022. 12. 14. 18:21

교통사고 진단 기간과 합의금

교통사고 진단 기간과 합의금
교통사고 진단 기간과 합의금

오늘은 진단 기간이 합의금 협상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굳이 교통사고가 아니더라도 다쳐서 병원에 가면

의사들이 2주나 3주 등의 치료 기간을 진단하고는

전치 몇 주 이렇게 표현을 합니다.

 

경미한 교통사고의 경우

통상적으로 2주 진단이 가장 많은데

2주보다 높은 진단을 받고 싶어도

의사들은 안 써 준다고 하지요.

 

진단이 높으면 합의금 협상 시 유리할 것 같은데

'다른 병원 가서 더 높게 받아야 하나?'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실 겁니다.

 

교통사고 진단 기간과 합의금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다 똑같습니다.

다른 병원 가셔도 똑같이 나옵니다.

 

진단을 내리고 초진 기간을 정할 때

모든 의사들은 대한의사협회에서 만든

진단 기준 매뉴얼에 따라 진단을 내립니다.

 

이 매뉴얼에 나와있는 상해 증상 별 초진 기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교통사고 진단 기간과 합의금
교통사고 진단 기간과 합의금

 

이렇게 매뉴얼대로 진단을 내리기 때문에

어느 병원을 가더라도, 어느 의사에게 가더라도

모든 진단은 전부 동일하게 나옵니다.

 

혹시,

최초 진단이 나온 뒤 추가적인 진단이 나오면

'이를 합하여 총 진단으로 할 수 있는 게 아닐까'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지요.

 

하지만 추가 진단은

단지 치료가 더 필요할 뿐,

초진과 합쳐서

총 치료 기간으로 판단하지는 않습니다.

 

대신 추가 진단이 나온다면

추가된 기간만큼 더 입원을 할 수 있고

그만큼 일실수입 기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손해배상액이 더 커지게 되지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교통사고로 의식이 없어 뇌진탕 진단을 받고

초진 12주가 나온 환자의 경우

계속해서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당연히 추가적인 진단이 내려지게 됩니다.

 

그래서 몇 년 동안 입원 치료를 하게 되는데

그렇다고 해서 이 분이 52주 진단, 104주 진단

이렇게 진단이 내려지지는 않습니다.

 

 

 

 

그럼 초진 기간이 길 수록

배상을 더 많이 받느냐, 그렇지는 않습니다.

 

조금 더 현실적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교통사고 진단 기간과 합의금
교통사고 진단 기간과 합의금

 

교통사고를 당해 눈이 실명되었을 경우

초진은 4주밖에 안 나옵니다.

하지만 진단 기준 매뉴얼에 따르면

대퇴골 골절은 초진이 14주 까지도 나옵니다.

 

위에 두 가지 경우 중 배상액이 많은 경우는

어느 경우일까요.

당연히 눈이 실명된 경우가 수십 배 많습니다.

 

초진 진단 기간과 사고 손해배상금은

상관관계가 없기 때문에

초진 진단 기간에 집착할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따라서 진단 기간을 더 받기 위해

의사와 감정 줄다리기를 할 필요 또한

전혀 없다는 이야기이지요.

 

소송이 제기되었을 경우에는

재판부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손해배상금, 즉 합의금을 많이 받는 방법

지난 포스팅에서 살펴보셨지요.

 

혹시 못 보신 분들을 위해 아래에 링크 남겨두겠습니다.

 

교통사고 많이 받는법! 바로가기

입원 합의금, 통원 합의금

ign7201.com

 

 

오늘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무보험 또는 책임보험만 가입된 상대방일 경우

합의금을 가장 많이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